민간선사 경영난에 적자 누적, 여수시 “추가지원은 불가”… 공영제 전환 목소리 커져
여수와 거문도를 오가는 정기 여객선이 또다시 운항 중단 위기에 놓였다. 민간 선사 측이 누적 적자를 이유로 운항 포기를 시사하면서 섬 주민들의 불편과 지역사회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수~거문도 항로는 여수에서 나로도, 초도를 거쳐 거문도로 이어지는 105㎞ 노선으로, 현재 고속선 하멜호(KT마린)가 주 6회 왕복 운항 중이다. 그러나 선사 측은 최근 여수시에 “월 1억 원이 넘는 손실이 누적돼 운항 지속이 어렵다”며 구조적 적자 개선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KT마린 관계자는 “승객이 늘어도 지원금이 줄어드는 역(逆)지원 구조 탓에 경영이 악화됐다”며 “유류비와 인건비 상승분이 반영되지 않아 더 이상 버티기 힘든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선사 측은 지난해부터 약 13억 원의 누적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여수시는 “협약에 따른 보조금은 이미 지급됐고, 감가상각비를 추가 지원하는 것은 중복 지원에 해당한다”며 선사 측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계약상 의무 이행은 모두 완료된 상태”라며 “필요 시 항로 운영 전반에 대한 점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운항이 중단될 경우 주민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점이다. 거문도와 초도, 나로도 등 섬 지역 주민들은 생필품 운송과 병원 진료, 학업 등을 위해 이 항로에 의존하고 있다. 한 거문도 주민은 “배가 끊기면 병원 한 번 가기도 힘들어진다”며 “도시에서라면 상상할 수 없는 불편이 반복된다”고 토로했다.
지역사회에서는 “민간 위탁 구조로는 섬 교통의 공공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며 공영제 전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박성미 여수시의원은 시의회 본회의에서 “민간 선사의 철수 위협이 반복되고 있다”며 “이제는 시가 직접 선박을 확보해 공영 운항체제로 전환할 때”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도 “섬 교통은 수익사업이 아니라 공공서비스의 영역으로 접근해야 한다”며 “지속 가능한 해상교통망 유지를 위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KT마린은 “협의가 타결되지 않으면 12월 15일부로 운항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밝힌 상태다. 여수시는 조속히 대책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